- 
          
          javascript 스코프front-end/Javascript 2023. 7. 10. 22:48반응형1. 스코프란? 
 스코프는(유효범위)는 자바스크립트를 포함한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이며 중요한 개념이다.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let 또는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스코프도 다르게 동작한다. 스코프는 변수 그리고 함수와 깊은 관련이 있다. 이것은 매개변수를 참조할 수 있는 유효범위, 즉 매개변수의 스코프가 함수 몸체 내부로 한정되기 때문이다. function add(x,y){ //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내부에서만 참조할 수 있다. // 즉, 매개변수의 스코프(유효범위)는 함수 몸체 내부다. console.log(x,y); // 2 5 return x + y; } add(2,5); // 매개변수는 함수 몸체 내부에서만 참조할 수 있다. console.log(x,y); ReferenceError변수는 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뿐 아니라 코드 블록이나 함수 몸체 내에서도 선언할 수 있다. 이때 코드 블록이나 함수는 중첩될 수 있다. 모든 식별자(변수이름, 함수이름, 클래스이름 등)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 이를 스코프라 한다. 즉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말한다. 이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이름이 같은 두 개의 변수를 참조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해야한다. 이를 식별자 결정이라 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를 통해 어떤 변수를 참조해야할 것인지 결정한다. 따라서 스코프란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식별자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이라고도 할 수 있다. 2. 스코프의 종류 
 전역 : 코드의 가장 바깥 영역(전역 스코프, 전역 변수)
 지역 : 함수 몸체 내부(지역 스코프, 지역 변수)이때 변수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자신이 유효한 범위인 스코프가 결정된다. 즉 전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전역 스코프를 갖는 전역 변수이고, 지역에서 선언된 변수는 지역 스코프를 갖는 지역 변수다. - 지역과 지역 스코프 
 지역이란 함수 몸체 내부를 말한다. 지역 변수는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 스코프에서 유효하다.3. 스코프 체인 
 함수는 전역에서 정의할 수도 있고 함수 몸체 내부에서 정의할 수도 있다.함수 몸체 내부에서 함수가 정의된 것을 함수의 중첩이라 한다. 함수는 중첩될 수 있으므로 함수의 지역 스코프도 중첩될 수 있다. 이는 스코프가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중첩 함수의 지역 스코프는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와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이때 외부 함수의 지역 스코프를 중첩 함수의 상위 스코프라 한다. 이처럼 모든 스코프는 하나의 계층적 구조로 연결되며, 모든 지역 스코프의 최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다. 이렇게 스코프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을 스코프 체인이라 한다.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이를 통해 상위 스코프에서 선언한 변수를 하위 스코프에서도 참조할 수 있다. - 스코프 체인에 의한 변수 검색이처럼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따라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해서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절대 하위 스코프로 내려가면서 식별자를 검색하는 일은 없다. 이는 상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는 하위 스코프에서 자유롭게 참조할 수 있지만 하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를 상위 스코프에서 참조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스코프 체인으로 연결된 스코프의 계층적 구조는 부자 관계로 이뤄진 상속과 유사하다. 상속을 통해 부모의 자산을 자식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지만 자식의 자산을 부모가 사용할 수는 없다. // 전역 함수 function foo(){ console.log('global'); } function bar() { // 중첩 함수 function foo() { console.log('local'); }스코프를 변수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이라고 표현하기보다는 식별자를 검색하는 규칙이라고 표현하는 편이 좀 더 적합하다. 4. 함수 레벨 스코프 
 지역은 함수 몸체 내부를 말하고 지역은 지역 스코프를 만든다고 했다.이는 코드 블록이 아닌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가 생성된다는 의미다. 이러한 특성을 블록 레벨 스코프라 한다. 하지만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함수 몸체)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이러한 특성을 함수 레벨 스코프라 한다. var x = 1; if(true) { var x = 10; } console.log(x); // 105. 렉시컬 스코프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므로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아니라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함수가 호출된 위치는 상위 스코프 결정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즉,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언제나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다. 이처럼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함수 정의가 실행될 때 정적으로 결정된다. 함수 정의(함수 선언문 또는 함수 표현식)가 실행되어 생성된 함수 객체는 이렇게 결정된 상위 스코프를 기억한다.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참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반응형'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javascript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0) 2023.07.11 javascript 전역 변수의 문제점 (0) 2023.07.10 javascript 함수 (0) 2023.07.10 javascript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0) 2023.07.04 javascript 객체 리터럴 (0) 202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