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avascript 전역 변수의 문제점front-end/Javascript 2023. 7. 10. 23:12반응형
1. 변수의 생명 주기
변수는 선언에 의해 생성되고 할당을 통해 값을 갖는다.그리고 언젠가 소멸된다. 즉 변수는 생물과 유사하게 생성되고 소멸되는 생명 주기가 있다.
변수에 생명 주기가 없다면 한번 선언된 변수는 프로그램을 종료하지 않는 한 영원히 메모리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function foo(){ var x = 'local'; console.log(x) // local return x; } foo(); console.log(x);지역 변수 x는 foo 함수가 호출되기 이전까지는 생성되지 않는다.
foo 함수를 호출하지 않으면 함수 내부의 변수 선언문이 실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변수 선언은 선언문이 어디에 있든 상관없이 가장 먼저 실행된다.
다시 말해, 변수 선언은 코드가 한 줄씩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시점인 런타임에 실행되는 것이아니라 런타임 이전 단계에서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먼저 실행된다.
foo 함수를 호출하면 함수 몸체의 다른 문들이 순차적으로 실행되기 이전에
x 변수의 선언문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가장 먼저 실행되어 x 변수가 선언되고 undefined로 초기화된다.
그리고 함수가 종료되면 x 변수도 소멸되어 생명 주기가 종료된다.
따라서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 x는 foo함수가 호출되어 실행되는 동안에만 유효하다.
즉 지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함수의 생명 주기와 일치한다.
var x = 'global'; function foo() { console.log(x); var x = 'local'; } foo(); console.log(x); // global이처럼 호이스팅은 스코프를 단위로 동작한다.
전역 변수의 호이스팅은 전역 변수의 선언이 전역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전역 변수는 전역 전체에서 유효하다.
지역 변수의 호이스팅은 지역 변수의 선언이 지역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한다.
따라서 지역 변수는 함수 전체에서 유효하다.
즉 호이스팅은 변수 선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고유의 특징을 말한다.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
함수와 달리 전역 코드는 명시적인 호출 없이 실행된다.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된다.이는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가 전역 객체의 생명 주기와 일치한다는 것을 말한다.
전역 객체 window는 웹페이지를 닫기 전까지 유효하다.
따라서 브라우저 환경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는 웹페이지를 닫을 때까지 유효하다.
즉,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는 전역 객체의 생명 주기와 일치한다.
2. 전역 변수의 문제점
암묵적 결합 : 전역 변수를 선언한 의도는 전역, 즉 코드 어디서든 참조하고 할당할 수 있는 변수를 사용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모든 코드가 전역 변수를 참조하고 변경할 수 있는 암묵적 결합을 허용하는 것이다.변수의 유효 범위가 크면 클수록 코드의 가독성은 나빠지고 의도치 않게 상태가 변경될 수 있는 위험성도 높아진다.
긴 생명 주기 : 전역 변수는 생명 주기가 길다. 따라서 메모리 리소스도 오랜 기간 소비한다. 또한 전역 변수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시간도 길고 기회도 많다.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 : 전역 변수는 스코프 체인 상에서 종점에 존재한다. 즉, 전역 변수의 검색 속도가 가장 느리다.
네임스페이스 오염 : 자바스크립트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는 파일이 분리되어 있다 해도 하나의 전역 스코프를 공유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파일 내에서 동일한 이름으로 명명된 전역 변수나 전역 함수가 같은 스코프 내에 존재할 경우 예상치 못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따.
3. 전역 변수의 사용을 억제하는 방법
전역 변수의 무분별한 사용은 위험하다.전역 변수를 반드시 사용해야 할 이유를 찾지 못한다면 지역 변수를 사용해야 한다.
변수의 스코프는 좁을수록 좋다.
- 즉시 실행 함수
함수 정의와 동시에 호출되는 즉시 실행 함수는 단 한 번만 호출된다. 모든 코드를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면 모든 변수는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가 된다.(function () { var foo = 10; //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 변수 // ... } ()); console.log(foo); // RefernceError- 네임스페이스 객체
전역에 네임스페이스 역할을 담당할 객체를 생성하고 전역 변수처럼 사용하고 싶은 변수를 프로퍼티로 추가하는 방법이다.var MYAPP = {}; // 전역 네임스페이스 객체 MYAPP.name = 'Lee'; console.log(MYAPP.name); // Lee- 모듈 패턴
모듈 패턴은 클래스를 모방해서 관련이 있는 변수오 함수를 모아 즉시 실행 함수로 감싸 하나의 모듈을 만든다. 모듈 패턴은 자바스크립트의 강력한 기능인 클로저를 기반으로 동작한다.- ES6 모듈
ES6 모듈을 사용하면 더는 전역 변수를 사용할 수 없다. ES6 모듈은 파일 자체의 독자적인 모듈 스코프를 제공한다. 따라서 모듈 내에서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더는 전역 변수가 아니며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도 아니다.<script type="module" src="lib.mjs"> </script> <script type="module" src="app.mjs"> </script>반응형'front-end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0) 2023.07.11 javascript let, const 키워드와 블록 레벨 스코프 (0) 2023.07.11 javascript 스코프 (0) 2023.07.10 javascript 함수 (0) 2023.07.10 javascript 원시 값과 객체의 비교 (0) 2023.07.04